2018.10.16.-10.30. Post Surface

Post-Surface The boundary between huma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orks by Artists Eun Woo Cho & Su Hyun Kim

The work of these two artists thematically demonstrates the intersection of art and science, how art can function as an interface to communicate scientific concepts as metaphor.

Eun Woo Cho & Su Hyun Kim have been taking on contemporary technological and scientific themes such to create a fictional space in hybrid forms that explore and engage the social imagination, creating verisimilitude - - an experience.

Technological evolution is converging with the biological. At some point in the future there will be no distinction between the organic and the machine, between the reality of our senses and the virtual.

This is and always has been the realm of the artist.

We could say that art is, in itself, an agent - - a form of super intelligence acting as an concatenation of minds to convey something greater than the artist, to those who experience it.

Nano Technology -> The Neural Brain interface -> Super Intelligence or the simulation of this - - exponentially developing - - we are reaching a point of heightened change to our physiology.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built on what has preceded is now reaching a critical threshold. We are transforming, we are Integrating with our technology. The changes are beyond anything we can comprehend and it has been happening for a while. Things are becoming strange and interesting, artists are beginning to coalesce these new developments at the event horizon of our collective knowledge. As we advance everything is going to operate as Art and the artist will function as a agent of influence. Cho & Kim have planted themselves here and are beginning to grow something, on the edge - - we want to be here as well! It is fascinating and uncanny. Let us embrace this uncanny, because more and more, we are going to find ourselves here. This is how we now experience beauty.

Eun Woo Cho describes her work as a way of using technological tools to create fictional space/time in hybrid forms in order to explore the social imagination. Inspired by the Italian Renaissance painting The Ideal City (1480–84) attributed to the architect and artist Fra Carnevale (1420–1484), Cho has in the installation (AI, Brain Wave & Ideal City) Revised Version created a diorama of spectrum reflective plexi-glass panels and columns placed in a grid filled with thousands of LED bulbs connected to sensors responding to a computer program. The program takes input from a wireless headset responding to EEG signals from the brain of the participant, which in turn activates the lights within the columns. The brain wave and art work actives based on the input from a wireless headset responding to signals from the audience’s EGG signal.

The second work in the show, Heart, Robot & Cyborg, is an installation consisting of a series of life-size human heart cast in red shiny polymer. Each heart contains a tiny robot (supported by Ping Pong, Robot Factory) inside. Depending on the input from the main robot signal, the hearts emanate a multitude of action and movement.

Cho’s installations function in a similar way – in the sense that there is an interaction within the process of the viewer, the robot, and the artwork – that interfuses the whole scenario into a complete circuit. The work is bridging the distinction between science and cultural meaning – posing as a visual metaphor that brings science into the emotional domain of public discourse that opens up the process of self-reflection. We can imagine alternative possibilities, which bring us into a state of awareness, reformatting fragments of stimulation into alternative realities and new narratives.

In Su Hyun Kim’s own words, “The work explores how it can create a new life form, which is free from the finiteness of the real life” she presents an AI generated video projection, an incubating box, and a collection of objects hanging on the wall. It is a semiotic system of variables pointing to a totality of different materials in a polymorphous state.

In the incubating box an autonomous system is set up growing mushrooms controlled by an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then collects data based on the mushrooms, and renders a 3D scan. The AI generated video projection is a documentation of the growth of the mushrooms in the case. The objects on the wall are the printed 3D models created by the AI in response to the mushrooms with the dried mushroom growth. The whole thing creates a kind of Möbius Strip of information and materials inside a closed system folding in on itself and repeating in variations based on a set of rules by the artists and manifested by the AI.

The manifestation of the artwork is being created and documented as we watch, creating a self proliferating virtual ecosystem that exist beyond the control of the artist, and the work itself is in a transformative state, programing itself based on some unknown algorithmic unfolding, within its virtual physics, to form a tunnel into another universe.

Kim describes this process, “The artist is the one who creates the work, but the biomaterials are creating on their own as well. The creation process can be considered as a collaborative endeavor of the two. I would like to establish symbiosis with them through the work which their boundaries, by itself, can expand, disappear, and regenerate. Eventually, I would like to create a living work that is not fixed, constantly changing, and is living on its own.”

Both Kim and Cho are creating a system of objects responding to data input from an organic life form that is being interpreted by a digital platform, which is then manifested in materials. By setting up a series of perimeters and then allowing things to run autonomously based on alterations from the biological, a symbiosis of the entire sequence manifests and integrates into a complete set of functions.

Thus, the artwork is not only the final product or outcome of the process that is created, but rather it is the broader totality of the whole experience - - the grasping of possibilities being recontextualized and transubstantiated into a new series of forms - - tapping into the void of our understanding, and altering the limits of our knowledge.

review by Peter Gregorio, Executive Director of VECTOR

2018.10.13. https://aliceon.tistory.com/3010 @Alice On Net, Live!


2018.2.23. The New Condition of Convergence : Between Science and Arts of an International Seminar
On February 23 (Fri), the New Condition of Convergence : Between Science and Arts' of an International Seminar hos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MSIT, Minister You Young -min) and organized by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KOFAC, Acting President of KOFAC, Kang Ho-young) and the Seoul Museum of Art (SeMA, Director Choi Hyo-joon), was held for creating new insights and contact for the convergence of science and art.
In part 1, there was a presentation by Gerfried Stocker(Artistic Director of Lienz, Austria) and Lee Hyun-jin( Professor of Yonsei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and Yu Won Jun(General Director of GAS 2016-2017).
Second part was about the theme of 'What is the new condition of 2018 in the convergence of science and art?”.

2017.10.28. Post Apoptosis

인공지능에 의한 새로운 생명개념 ‘Post Apoptosis’

전혜숙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교수)

미술가인 김수현과 공학자인 김찬주, 이양우의 협업으로 이루어진 「Post Apoptosis」는, 생사(生死)의 생명과정을 지닌 자연생명체 버섯과, 그 버섯이 생장하는 방법을 익히고 딥 러닝하여 무한히 증식할 수 있으며 영원히 죽지 않는 인공생명체(인공버섯)를 나란히 공존시킨 작업이다. 이를 위해 작가들은 자동생장환경을 구축해 설치하여 버섯을 관찰하고 3D로 스캔하는 한편, 거기서 축적된 관찰결과와 데이터(형태, 성질 등)로 바탕으로 Neural network system의 Deep neural network를 통해 인공생명체를 만들고, 그것을 3D 프린터로 재현해냈다. 이것은 바이오아트와 인공지능 기술이 만나 만들어진 새로운 생명체였다.
우리는 이 작품을 통해서 현대 생물학과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의해 변화되어가는 ‘생명개념’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축적되어 온 철학자와 과학자들의 수많은 ‘생명’에 대한 정의를 보더라도, ‘생명’과 ‘활력(animation)’을 동일시하고 ‘생명’과 ‘물질’을 구분한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생물학’이라는 어휘를 처음 사용한 라마르크(Jean-Baptiste Pierre Antoine de Monet, Chevalier de Lamarck)의 유물론적 입장을 거쳐, 최초로 생명에 대한 문제를 과감하게 물리화학적으로 설명하려 했던 에르빈 슈뢰딩거(Erwin Schrödinger)의 열역학적 어휘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미생물이라는 가장 미시적인 단위로부터 시작해 지구를 커다란 육체 혹은 생명체로 본 린 마굴리스린 마굴리스(Lynn Margulis에 이르기까지, 과학 혹은 생물학의 역사 속에 존재하는 생명에 대한 이해는 계속 변화해왔다. 게다가 DNA구조가 밝혀지고 유전정보가 공개되었으며, 유전공학을 통해 유전자 조작된 하이브리드가 생산되고, 합성생물학을 통해 인공세포가 생산되며, 생체실험(in vivo)이나 시험관 실험(in vitro) 없이도 컴퓨터를 이용해 생명을 재구성하는 인공생명모델이 만들어지고 있는 지금, 생명에 대해 복잡하고 다층적이며 다양한 관점으로 접근해야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사실 1980년대 이후 생명의 구성적인 연구에서 큰 성과를 얻은 곳은 생물학 실험실이 아니라 바로 컴퓨터의 공간이었다.
과거에 ‘생명’이란 생물의 본질적 속성으로 추상되는 개념이었다. 그 속성에 의해 개체 및 종이 보존되어 오랫동안 환경과의 관계에서 진화가 발생했으며, 또한 그 속성에 의해 생물이 합목적적인 존재로서 성립해올 수 있었던 개념이다. 그런데 그 자체를 생물의 본질적 속성이라고 간주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바탕에 ‘정보의 전달’과 ‘에너지 방향’이라는 정해진 변환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물질대사에 바탕을 둔 생물학적 생명은 항상성, 유기적 조직, 물질대사, 성장, 순응, 자극에 대한 반응, 복제 등의 특징을 나타낸다. 또 생물학자들은 지구상의 생명체들이 공통적으로,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핵산 등의 성분을 지니며, 살아가기 위해 에너지와 물질을 필요로 하고, 하나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항상성을 유지하고, 진화하는 현상을 보인다고 말한다. 그러나 현대생물학과 생명기술의 발전은 생명이 이전과는 다르게 정의될 수 있는 다양한 길을 열어놓았다. 이제 생명은 ‘정보’로 환원될 수 있게 되었고, 몸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세포로도 따로 살아서 존재할 수 있게 되었으며, 합성생물학을 통해 인공적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 모든 것은 과학, 기술, 공학이 만나 이루어진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이 생명인가 아닌가에 대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러한 생명의 가능성을 목도하고 있다.
‘생명’이라는 개념을 사이에 둔 2K1L의 작품은 자연과 인공을 대립시키지 않고 공존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언제나 ‘자연’은 ‘인공’에 대한 우월한 모델이었다. 기술과 예술은 모두 자연적인 것에서 그 모델을 찾았으며, 자연의 작품 중 최고는 늘 생명체였다. 그러나 최근 자연과 인공의 관계는 동등하다 못해 역전되고 있으며, 인공적으로 생산된 생명들로 인해 자연적인 것과 인공적인 것은 이제 같은 평면 위에 놓이게 되었다.
「Post Apoptosis」에서 작가들이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생성된 새로운 생명개념에 작업의 의미를 싣고 있다는 사실은 작품의 제목에서도 알 수 있다. 생물학과 화학에서 Apoptosis는 세포가 손상받거나 수명이 다한 경우에 세포가 가지고 있는 유전자 내의 죽음인자가 발동되어 세포가 위축되고 결국은 스스로 죽는 과정, 즉 ‘세포예정사(programmed cell death)’로 알려져 있다. 생명체에 저장되어 있는 ‘예정된 생애주기’인 것이다. 작가들은 유한한 생명체(버섯)가 번식과 복제과정을 통해 얻고 싶어 했던 무한성과 유일성이 인공생명체에서 가능해졌으며, 그것이 곧 ‘새로운 생애주기’인 Post-Apoptosis임을 보여주려 했다. 생명 자체는 생명체나 생명의 기능과는 구별된다. 1990년대에 활발해진 인공생명에 대한 연구의 특징은 생명이 지닌 속성 중 ‘자기복제’와 ‘진화’를 크게 클로즈업시켰다는 점이다. 인공생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소재에 관계없이 존재로서가 아니라 행동으로서 살아있음’을 구성적으로 표현하고 그 과정에서 생명의 생명다움에 접근하려는 것이기 때문이다. 생명은 이제 명사라기보다는 차라리 동사라고 하는 게 더 맞는 말이 되었다. ‘살아있는’ 것은 자신을 수선하고 유지하며 다시 만들고 자신을 능가하는 활동이 되었기 때문이다.
「Post Apoptosis」는 미술가 김수현이 몇 년 동안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온 ‘공간과 뉴미디어의 만남’이라는 큰 틀에 속한다. 특히 그녀는 건축적 공간 안에 융합되는 뉴미디어 시스템의 방식, 그리고 그것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생성의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한 관심은 2013년 작품 「Symbiotic Envelop」에 잘 나타나 있다. 건축적 공간(그녀의 말대로라면 ‘skin’) 안에 설치된 고무로 만든 풍선은 컴퓨터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고 크기도 계속 변화된다. 그것은 마치 생성과 소멸 및 변화를 반복하는 유기체처럼 움직인다. 이는 김수현이 말하는 “사람들과 시스템 사이를 연결하는 맨 바깥 표면의 공간”에 대한 관심과 거기에 존재하는 인공적인 생명의 관계를 생각나게 한다. 그녀의 관심은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의 공간 속에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지각의 탐구과정으로 연결된다.
이번 작업에서 미술가 김수현은 생물(버섯)이라는 도구, 즉 살아있는 상태의 미디어를 사용하였다. 그녀는 미술매체로서의 ‘생물’이 그 자체로 자신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내포하고 있으며, 작업자와 동등한 주체로서 아이덴티티의 변환이나 변형의 다양성을 스스로 표현하고 드러낼 수 있을 뿐 아니라, 그럼으로써 작업의 결과에도 관여할 수 있는 매체라고 설명한다. 그녀가 바이오공학자와 협업한 2013년의 「Regeneration」은 생명체 중에서도 가장 미미한 미생물 박테리아의 아이덴티티를 보여준 작업이다. 복합적 미생물 군집을 지닌 여러 지역에서 흙을 수집하여 영양을 공급하고 배양하여 분리한 후, 25개씩 4세트의 접시 100개에 여러 종류의 박테리아를 마치 도장 찍듯 옮겨(복제해) 새로운 군집으로 성장하게 했다. 그녀가 이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즉 흙 속의 미생물 군집체들을 성장시키고 분류하는 동안 발견한 것은, 아무리 미미한 미생물일지라도 개개의 생명체는 순간순간마다 똑같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이었다. 시간성에 따라 그리고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늘 균질하지 않은 생명체들은, 바로 그렇기 때문에 매시간 자신을 포함한 환경에 대한 독특한 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수 있었다.
미생물을 이용하는 많은 바이오아티스트들처럼 김수현도 생명체 중 가장 작은 박테리아에 관심을 가짐으로써 모든 생명체들이 지닌 가치의 동등함을 강조해왔다. 바이오아트의 작업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듯이, 그녀도 미술가와 과학자의 협업 및 공동연구와 실험을 기반으로 해왔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리의 주변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박테리아들을 실험과 작품을 통해 가시화하고, 더 나아가 생물학, 사회학 등을 포괄하는 다학제적인 접근방식을 추구하며 그것들의 생태학적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영국의 바이오아티스트 안나 드미트리우(Anna Dumitriu)가 박테리아의 ‘쿼럼 센싱(quorum sensing)’을 통해 박테리아들의 미시적인 소통을 보여줄 뿐 아니라, 미술가 자신이 땅에 살고 있는 박테리아와의 전지구적인 거시적 소통을 시도하려고 했던 것이나, 소냐 보멜(Sonja Bäumel) 우리의 신체 위에 살고 있는 보이지 않는 미생물들을 배양시켜 가시화하고 시각적 작품으로 만들어낸 것 등은 모두 박테리아의 존재에 대한 독특한 의미부여와 연관된다. 환경변화에 따라 화학적 신호전달 물질을 합성하여 세포 밖으로 방출하고 흡수함으로써 박테리아의 유전체 발현을 이루게 하는 ‘쿼럼 센싱’은 박테리아의 신호체계이지만, 바이오아티스트들은 그것을 박테리아들이 자신들을 스스로 드러내는 임무수행으로 보았으며, 박테리아와 인간이 서로 실시간으로 만나 새로운 종류의 인공생명 형태로 결합될 수 있음을 상상한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쿼럼 센싱’은 바로 박테리아들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언어적 활동과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생물학자들에 의하면, 유기체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이란 협동과 갈등 사이의 주고받음(give and take)’이다. 바이오아티스트들은 그것이 인간에게든 박테리아에게든 마찬가지라고 본다. 20여년 전만해도 우리는 박테리아가 ‘사회적’이라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 그러나 오늘날 바이오아티스트들에 의해 가시화된 박테리아의 소통과 ‘사회적 활동(주고받음)’의 의미는 우리로 하여금 살아있는 미생물 자체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만든다.
결국 2K1L의「Post Apoptosis」는 생명체와 인공생명체를 공존시킨 새로운 생태계의 발현으로 볼 수 있다. 이제 새로운 생태계는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와 인공생명 등 기계와 디지털 기술과 유기적 논리 등이 혼성된 확장된 생명개념이 받아들여지는 공간이 된다. 여기에는 인간과 자연, 인공과 자연을 계층화하는 데카르트적인 체계가 설자리가 없다. 이 작품에서 관람자들은 오직 자신이 포함되는 새로운 기술-생태계를 경험하게 된다. 다른 바이오아트처럼, 2K1L의 작업도 디지털미디어 기술과 생물학 기술, 그리고 미술적 표현이라는 아주 다른 세 개의 영역을 함께 묶음으로써 이제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미디어의 세계를 열었다. 대체로 이렇게 통합된 바이오미디어의 의미들은 미술이자 생명체인 미디어의 ‘살아 있음’ 강조해왔다. 그러나 2K1L은 바이오미디어의 ‘살아 있음’은 곧 그것의 ‘죽음’과도 밀접하게 연관된다는 사실을 받아들인다. 다른 바이오아트에서처럼, 「Post Apoptosis」도 살아있음을 담보로 하는 바이오미디어들이 언젠가는 죽는다는 생명체의 운명을 직시하고 삶과 죽음의 경계를 드러낸다. 그러나 유한한 생명은 인공지능 기술에 의해 다시 무한히 확장되는 새로운 인공생명체, 새로운 생애주기를 지닌 생명체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

2013. 08.22- 08.29 EXPERIMENTAL BIO ART Exhibition at UCLA




































#바이오 아트 #AI and Creativity #bio art #media art
© Su Hyun Kim with Guhmsoon and Mushi
0, 1, 2, 4, 5, 6, 8, 0, 1, ...